뚠뚜 개발일지

[면접준비] 기술 면접 기초 6일차 본문

일상/취준일지

[면접준비] 기술 면접 기초 6일차

뚠뚜 2024. 3. 9. 23:33

GET, POST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GET 방식은 URL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서버에 요청하며 데이터가 URL의 쿼리 매개변수로 전송되기 때문에 주소창에 노출됩니다. 따라서 보안에 취약하며 비밀번호와 같은 데이터들은 전성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검색어 전달이나 페이지 링크 클릭등에 사용됩니다.POST 방식은 HTTP 요청의 본문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서버에 요청하여 URL에 노출되지 않고 요청의 본문에 포함되므로 비교적 안전한 편입니다. GET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안이 높아서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정보나, 폼에 작성된 데이터를 전송등에 사용됩니다.


GET, POST의 개념과 함께 데이터 흐름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GET과 POST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HTTP 메서드입니다. GET은 주로 서버에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하며, 요청하는 데이터는 URL의 쿼리 문자열에 포함되어 전송됩니다. 이로 인해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며, 크기 제한이 있습니다. POST는 데이터를 서버에 제출할 때 사용되며, 데이터는 요청 본문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크기 제한이 없으며, 민감한 정보 전송에 적합합니다. GET은 데이터 조회에, POST는 데이터 제출 및 변경에 주로 사용됩니다. 데이터 흐름에서 GET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POST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주로 흐릅니다.


쿠키, 세션, 웹스토리지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각각의 차이에 대해 용도, 저장위치, 유효기간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먼저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로컬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상대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쿠키는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에 저장되므로 서버에 전송되는 모든 HTTP 요청과 함께 전송됩니다.유효기간은 만료 날짜 또는 세션 종료까지 지속됩니다. 세션은 서버 측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세션은 서버에 저장되며, 클라이언트에는 세션 식별자가 쿠키로 전달되어 사용됩니다.유효기간은 브라우저를 닫거나 세션 종료 시까지 유지됩니다. 웹스토리지는 클라이언트 측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세션과 달리 서버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주로 로컬 데이터를 유지하거나 클라이언트 측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저장하는데 활용됩니다.웹스토리지는 브라우저에 저장되며, 세션과는 달리 서버에 전달되지 않으며,유효기간은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각각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세션동안에만 데이터가 유지됩니다.